백준풀기

[c++] 백준 1269번 대칭 차집합

해언뵤 2024. 1. 30. 01:20

문제

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. 이때,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, (A-B)와 (B-A)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.
예를 들어, A = { 1, 2, 4 } 이고, B = { 2, 3, 4, 5, 6 } 라고 할 때,  A-B = { 1 } 이고, B-A = { 3, 5, 6 } 이므로,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+ 3 = 4개이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.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,000을 넘지 않으며, 모든 원소의 값은 100,000,000을 넘지 않는다.

 

출력

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
 

 

문제풀이

이 문제를 풀때 교집합을 먼저 구하고 합집합에서 빼는 방법과, a-b b-a를 각각 구해서 풀어야하나 싶기도 했다. 
근데 개수를 구하는 문제니까 a집합을 먼저 입력받고, b집합에서 입력시킬때 a집합에서 b집합에 들어갈 값이 있다면 그 수를 cnt로 받아서 입력받은 a와 b값에서 각각 빼주면 된다.
set을 사용했는데 set의 멤버함수중 find()함수는 찾는 원소가 없다면 a.end()를 반환한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et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{
    int na, nb;
    cin >> na >> nb;
    set<int> a;
    for (int i = 0; i < na; i++){
        int temp;
        cin >> temp;
        a.insert(temp);
    }
    int cnt = 0;
    for (int i = 0; i < nb; i++){ //교집합구하기
        int temp;
        cin >> temp;
        if (a.find(temp) != a.end()){//a에서 temp와 같은 원소가 있다면
            cnt++;
        }
    }
    cout << (na-cnt)+(nb-cnt);
}